본문 바로가기

공지사항

HOME - 알림ㆍ뉴스 - 공지사항

공지사항

탄소중립 관련 건설기계산업에 미치는 영향

  • 표준ㆍ인증ㆍ법규
  • 작성자 : 관리자2
  • 작성일 : 22-05-12 10:19
  • 조회 : 2,488

본문

탄소중립 관련 건설기계산업에 미치는 영향


 탄소중립이란?

인간의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을 최대한 줄이고, 남은 온실가스는 흡수(산림 등), 제거(CCUS*)해서 실질적인 배출량이 0(Zero)가 되는 개념이다. 즉 배출되는 탄소와 흡수되는 탄소량을 같게 해 탄소 ‘순배출이 0’이 되게 하는 것으로, 이에 탄소 중립을 ‘넷-제로(Net-Zero)’라 부른다.
  * CCUS (Carbon Capture,. Utilization and Storage) : 이산화탄소 포집, 저장, 활용 기술

 현     황 

ㅇ 탄소중립 선언 등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논의 확산
- 그간 파리협정 등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국제사회 논의 및 팬데믹(코로나19) 발생으로 전 세계적 기후위기의 심각성 인식이 증대되어 주요국에서는 탄소중립을 공식 선언 및 기후위기 대응 체제 돌입
- 2030 NDC*는 탄소중립의 중간 목표로서, 세계 주요국은 기준연도대비 2050년 탄소중립까지 균등 감축 수준으로 NDC 상향 설정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< 주요국 2030 NDC 목표 비교 >

2030 NDC 목표

국가

2030 NDC 목표

EU

’90년 대비 최소 55% 감축

미국

’05년 대비 50~52% 감축

영국

’90년 대비 68% 감축

일본

’13년 대비 46% 감축

 * NDC(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):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 
 ** 기준연도는 국가별로 자체 결정(사유는 미공개), 배출정점(EU, 日) 혹은 배출정점 인접연도(美: 정점-’07년/기준-’05년, 英: 정점-’90년/기준-’91년)를 기준으로 함

ㅇ 국내 2030 NDC
- ’18년 배출량(727.6백만톤) 대비 40%(291백만톤)감축 ⇒ ’30년 배출량: 436.6백만톤
      * 2018년은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 정점으로, 감축목표 설정 기준연도로 활용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< 부문별 주요 감축목표 및 방안 > 

구분

2030 NDC() / 배출량(백만톤)

감축방안

전체

’18년 대비 40% 감축 / 436.6

’18년 대비 26.3% -> 40% 감축으로 상향(’21.4월 발표) 

 

전환

’18년 대비 44.4% 감축 / 149.9

석탄발전 축소, 신재생에너지 발전 확대

 

산업

’18년 대비 14.5% 감축 / 222.6

철강, 석유화학, 시멘트 원료 및 연료 전환 등

 

건물

’18년 대비 32.8% 감축 / 35.0

에너지효율 향상, 고효율기기보급 등

 

수송

’18년 대비 37.8% 감축 / 61.0

친환경차 보급확대, 선박 항공기 효율개선

 

농축수산

’18년 대비 26% 감축 / 18.3

저탄소농업, 가축관리, 고효율설비 보급

 

기타

흡수 및 제거 포함 / -50.2

재활용확대, 수소공급, 산림확대 등



 산업에 미치는 영향


ㅇ 건설기계 산업은 제조업관련 ‘산업’ 부문에 해당이 되며, 감축목표관련 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임

- 제품 생산과정에서 화석연료를 주로 사용하는 철강, 시멘트, 석유화학·정유 산업의 연료전환과 시설개선을 통한 감축이 핵심 

- 반도체, 디스플레이, 전기·전자 등 전력 다소비 업종의 에너지효율화


 향후추진


 저탄소 건설기계(전기/수소) 보급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및 지원에 대해 정부에 지속적 요구 중

- 다양한 세제혜택과 보조금 지급 정책, 정부 R&D 확대 지원 등


ㅇ 탄소중립에 따른 연료가격상승 및 원자재수급과 관련한 사항은 제품원가에 영향을 주며 산업 경쟁력에 중요한 이슈 

- 탄소중립관련 정부의 이행정책과 관련 협회의 지속적 참여를 통해 우리 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고려한 안정적인 정책 마련에 기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