탄소중립 관련 건설기계산업에 미치는 영향
- 표준ㆍ인증ㆍ법규
- 작성자 : 관리자2
- 작성일 : 22-05-12 10:19
- 조회 : 2,488
본문
탄소중립 관련 건설기계산업에 미치는 영향 |
국가 | 2030 NDC 목표 | 국가 | 2030 NDC 목표 |
EU | ’90년 대비 최소 55% 감축 | 미국 | ’05년 대비 50~52% 감축 |
영국 | ’90년 대비 68% 감축 | 일본 | ’13년 대비 46% 감축 |
구분 | 2030 NDC(안) / 배출량(백만톤) | 감축방안 | |
전체 | ’18년 대비 40% 감축 / 436.6 | ’18년 대비 26.3% -> 40% 감축으로 상향(’21.4월 발표) | |
| 전환 | ’18년 대비 44.4% 감축 / 149.9 | 석탄발전 축소, 신재생에너지 발전 확대 |
| 산업 | ’18년 대비 14.5% 감축 / 222.6 | 철강, 석유화학, 시멘트 원료 및 연료 전환 등 |
| 건물 | ’18년 대비 32.8% 감축 / 35.0 | 에너지효율 향상, 고효율기기보급 등 |
| 수송 | ’18년 대비 37.8% 감축 / 61.0 | 친환경차 보급확대, 선박 항공기 효율개선 |
| 농축수산 | ’18년 대비 26% 감축 / 18.3 | 저탄소농업, 가축관리, 고효율설비 보급 |
| 기타 | 흡수 및 제거 포함 / -50.2 | 재활용확대, 수소공급, 산림확대 등 |
□ 산업에 미치는 영향
ㅇ 건설기계 산업은 제조업관련 ‘산업’ 부문에 해당이 되며, 감축목표관련 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임
- 제품 생산과정에서 화석연료를 주로 사용하는 철강, 시멘트, 석유화학·정유 산업의 연료전환과 시설개선을 통한 감축이 핵심
- 반도체, 디스플레이, 전기·전자 등 전력 다소비 업종의 에너지효율화
□ 향후추진
ㅇ 저탄소 건설기계(전기/수소) 보급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및 지원에 대해 정부에 지속적 요구 중
- 다양한 세제혜택과 보조금 지급 정책, 정부 R&D 확대 지원 등
ㅇ 탄소중립에 따른 연료가격상승 및 원자재수급과 관련한 사항은 제품원가에 영향을 주며 산업 경쟁력에 중요한 이슈
- 탄소중립관련 정부의 이행정책과 관련 협회의 지속적 참여를 통해 우리 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고려한 안정적인 정책 마련에 기여